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Javascript] 배열( array ) 객체 메소드( unshift, shift, push, pop, concat, indexOf, includes)

JAVA SCRIPT

by 혀누쓰0 2022. 6. 2. 21:50

본문

 

 

 

unshift( 배열 맨앞에 추가할 값 ), push( 배열 맨뒤에 추가할 값 )

 

 

 

배열 앞에 데이터를 추가할때 사용하는 unshift()

 

배열 뒤에 데이터를 추가할때 사용하는 push()

나 , 다 , 라 3개의 데이터가 있는 배열에  

 

unshift로 '가' 라는 값을 배열 맨 앞에 추가

 

push로 '마' 라는 값을 배열의 맨 뒤에 추가

 

 

 

 

 

 

 

 

 

 

shift( 배열 맨앞의 값 삭제 ), pop( 배열 맨뒤 값 삭제)

 

 

 

배열 앞에 데이터를 삭제할때 사용하는 shift()

배열 뒤에 데이터를 삭제할때 사용하는 pop()

 

가, 나, 다 가 있는 배열에  

 

shift 와 pop으로  맨 앞과 뒤의  데이터 값 삭제한 것을 변수로 옮겨서

 

출력해보면 배열 맨앞의 값이 출력되는것을 확인

 

기존의 배열에서 데이터가 사라진다.( 영향이 있다. )

 

 

 

 

 

 

 

 

 

concat( 추가 할 배열 )

 

 

 

배열과 배열을 합칠때 사용하는 concat()

 

기존의 배열에는 영향이 없다.

 

array와 array2를 concat으로 합쳐진것을 콘솔로 확인가능하다.

 

 

 

 

 

 

indexOf(  ), lastIndexOf()

 

 

  몇번째 인덱스에 값이 있는지 확인하는 indexOf( a, b )  

 

첫번째 인자 a 는  찾고있는 배열의 데이터를 뜻하고

 

인자를 2개 받을때의 두번째 인자는 몇번째 인덱스부터 찾을것인지 뜻한다.

 

위 배열은 가 나 다 가 나 다 의 데이터를 가진 배열이다.

 

indexOf('가')는 가 라는 값이 n번째에 있다고 출력해준다

 

indexOf('가', 3)은 가 라는 값을 찾지만 3번째 부터 찾아주기때문에 2번째 인덱스에 '가' 라는 값이 있기때문에 3이 출력

 

 

 

 

 

 

 

indexOf와 반대로 뒤에서 부터 몇번째 인지 알려주는 lastIndexOf()

 

0번와 3번째에 똑같은 값이 있는데 3을 출력해주는것을 확인

 

 

 

 

 

includes()

 

 

 

배열에 값이 있는지 불리언으로 출력해주는 includes()

 

'가' 라는 데이터가 있기때문에 true 값출력

 

'라' 라는 데이터는 없기때문에 false

 

 

관련글 더보기